반응형 java 문자열 자르기1 Java split 함수의 이용 1. "|"로 자르기 2. "|" 뒤로 문자가 없을 때 3. split 함수를 4개로 자를 때 4. split 함수를 2개로 자를 때 5. 데이터의 유무와 상관없이 "|"로 자를 때 실제로 업무를 하다보면 이런경우가 생긴다. "a | b | c | d" 이렇게 데이터를 전달해주기로 하였는데 "a | b | c | d" "a | b | c |" 이런식으로 값이 있는경우와 없는경우가 동시에 존재할수가 있다. result[3] 값을 꺼내오려하면 에러가 발생한다. 그럴경우 split("\\|", -1) 이렇게 사용하면 값이 있던 없던 "|" 기준으로 자르게 된다. 간단해 보이지만 자주 실수하는 부분이다. 2017. 9. 11. 이전 1 다음 반응형